제목 : 언론보도 (표준석탄 20기 조기 폐지…전력수급 불안・요금 인상 등 불가피)
작성일 : 2019.12.17
조회수 : 2782
10일 제16차 전력포럼, 전문가들 석탄 조기폐지 놓고 우려 '한목소리'



미세먼지와 온실가스 감축 때문에 석탄화력의 감축은 불가피해졌다. 하지만 전체 전력공급의 40% 이상을 차지하는 석탄이 전력공급에서 제외될 경우 전력난은 국가적 위기로 다가올 수 있다. 최근 3년간 평균 발전량을 보면 석탄이 41%, LNG 23%, 원자력 29%, 신재생 4% 순이었다. 석탄은 전력생산에 있어 절대적 역할을 해왔고, 당분간은 석탄을 대체할 만한 경제적 전원은 원자력 정도밖에 없다.

(중략)

전 교수는 “유가에 민감한 LNG와 달리 석탄은 다소 둔감하기 때문에 석탄을 줄일 경우 유가급등시 에너지 안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, 특히 석탄의 빈자리를 LNG가 메울 경우 LNG 발전이 2030년 기준으로 전체 설비 용량 중 30% 가량을 차지한다” 고 지적했다. 이는 원자력과 석탄의 설비용량을 합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.
정부 계획대로 2030년에 재생에너지의 전력공급 비중이 20%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석탄까지 줄일 경우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백업 전원이 필요하며, 이는 발전원간 균형을 유지해야 해결할 수 있다는 얘기다.
전 교수는 또 석탄을 급격하게 줄일 경우 국내 발전산업 생태계 전체에 심각한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.
전 교수는 “가스터빈의 경우 100% 외국제품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석탄의 갑작스런 폐지는 전력산업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”고 우려했다.
현재 국내 석탄화력 기술은 국산화를 통해 산업경쟁력을 키우고 서플라이 체인을 구축했지만, 가스터빈의 경우 외국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보니 LNG발전이 늘어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. 현재 두산중공업을 중심으로 가스터빈 국산화를 진행 중 이지만 개발 초기단계나 다름없다.
이날 전 교수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국내 LNG발전소 44기에 들어간 가스터빈 150기 전량이 외국산이며, 터빈 구매에 4조 2104억 원, 유지보수에 8조 1200억 원 등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.
전 교수는 또 석탄화력 조기 폐지시 사회적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. 때문에 석탄의 수명을 더 늘려 선진국처럼 40년 이상 운영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하다고 지적했다.
유럽은 40%, 북미는 56%의 석탄이 40년 이상 운영되고 있다.
전 교수는 “미국은 지난 2008년 이후 10년 동안 화력발전소의 47%를 폐지했는데, 석탄화력의 가동연수가 평균 52년에 달하며, 독일은 석탄화력에 대해 잔여발전량 개념을 도입해 운전중인 발전소는 수명이 다할 때 까지 가동후 폐지하고 있다”고 말했다.

 

기사원문

http://m.electimes.com/article.php?aid=1557572707178819002